과제수행 참여연구원

연구 책임자연구 참여자
소속성명소속성명
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장경환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노은운
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구영본
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이위영



Ⅰ. 연구개요 

새만금 간척지역의 목재에너지용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의 현재 생육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


  Ⅱ. 연구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대상지인 간척지의 특성상 식물생육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성공적인 바이오매스 생산림 정착을 위하여 식재된 나무들의 적응과 생장에 대한 모니터링으로 장단기적 생장예측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필요함.


  Ⅲ. 연구내용 및 범위

  ○ 목재에너지림 묘목 생육 및 바이오매스 생산 모니터링‒ 단위면적당 지상부 부위별 바이오매스 조사(수고 및 흉고직경 변화 모니터링, 지상부 부위별 생중량 및 건중량 조사)

○ 목재에너지림의 바이오매스 생산량 추정 

- 항공사진을 이용한 조림지 각 block 의 상대적밀도를 계급화한 후 표본조사구 실측량을 적용하여 각 block의 biomass 량 추정

 - 유기질비료 효과, 춘기추기 삽목 효과, mulching 효과 등 비교○ 목재에너지림의 생산제약요인 구명

 - 바이오매스 생산에 영향을 주는 토양인자 구명


  Ⅳ. 연구결과 

○ 목재에너지림 묘목 생육 상태 모니터링 

- 2012~2016년 조림지에서 30개의 10m x 10m plot을 선정한 후 plot 내 생존 개체 전수를 파악하여 평균생존율 23.9% 확인

 - plot 내 생존개체의 활력상태를 1에서 5의 계급값을 부여한 결과 전체 활력도 평균은 3.29로 매우 불량 - 조사한 block 447개 중 10.7%인 48개 block이 미입목지이고 31%에 달하는 140개 block이 70% 이상이 고사할 정도로 부진함


○ 목재에너지림 바이오매스 생산 모니터링

‒ 정확한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산하기 위해 수확한 줄기와 가지를 이용하여 평균 44.4%의 함수율 확인

- 2~16cm에 이르는 다양한 흉고직경의 개체 20본을 벌채 후 수고와 생중량 측정 후 함수율로 97% 이상의 정확도로 건중량을 추정하는 회귀식 도출

- 30개의 plot 내 전체 개체의 흉고직경 측정으로 회귀식에 의한 건중량 추정.

- ImageJ 프로그램과 목측으로 각 block의 상대적 밀도를 부여 후 조림년도 마다 부여한 plot의 재적평균을 차등적으로 곱하여 block의 총 생산량을 추정.

- 조사결과 2012년 조림지는 2.1ha에서 102ton(년 간 ha당 9.78ton)을 생산하여 생산성이 가장 높았고 태풍피해를 입었던 2013년 조림지는 15ha에서 35ton (년간 ha 당 0.6ton)을 생산하여 최저생산량을 보였음

- 전체조림지의 평균 건중생산량은 년 간 ha 당 2.2ton으로 다른 환경에서 보고된 양에 크게 미치지 못했음(고사율이 높은 것이 부진의 원인임)


○ 목재에너지림의 생산제약요인 구명

- 전체조림지의 배수불량

- 토양양료 특히 유기물질 및 질소의 양이 크게 부족

- 박쥐나방 등의 병충해 피해도 큰 요인임 


Ⅴ. 연구결과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결과는 간척지에 조성된 목재에너지림의 배수불량한 토질과 양료결핍이 생산부진의 주원인으로 지목되며 고사율을 낮추기 위한 토양개량과 적극적인 유기질 비료투여로 토양양료 개선이 필요함



댓글
* 이메일이 웹사이트에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