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연구개요

 

주관연구과제명일시적 침지방식의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클론묘대량생산기술개발
위탁연구과제명국문낙엽송 클론묘 유묘(양묘) 조림지 생육특성조사
영문Evaluation of larch clone seedlings and their growth in plantations
연구기관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연구책임자소속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
성명장 경 환
연구기간2024. 3. 18 ~ 2022. 11. 30 (9 개월)
연구개발비일금 일천육백팔십팔만오천원정(₩16,885,000)
참여연구원수총 3명내부 : 3명, 외부 : ○명


Ⅱ.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연구 목적 

○ 낙엽송 체세포배 유래 나무(클론묘)들이 종자유래 나무(실생묘)들과 동일한 적응 및 생장과정을 보이며 수형에서도 안정적인지 여부 조사 

○ 체세포배 유래 나무들을 이용한 육묘나 식재, 관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구명하고 해결책 제시 


2. 필요성 

○ 낙엽송은 신속생장하며 통직하고 재질도 단단하여 수요가 많으나 종자생산이 부진하여 조림수요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음 

○ 대규모 채종원의 조성에도 불구하고 종자생산은 결실주기가 불규칙하며 여러 가지 개화촉진 시도에도 효율적인 종자생산은 기약하기 어려움 

○ 부진한 종자생산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삽목이나 체세포배 유도같은 효율적인 무성증식의 기술이 제시됨 

○ 그러나 체세포배 기술에서 유래된 클론묘가 조림현장에서 신속하고 안정적 생장을 증명할 기회가 필요함 

○ 실생묘와 다른 체세포 유래 클론묘의 조림이 전혀 새로운 시도이므로 이의 현장 적용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확인하여 해결함으로써 효율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음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성적 조사 

◯ 조사대상 조림지 

◦ 경기도 가평군 북면 2개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면 1개소 

◦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 및 평창군 봉평면, 용평면 등 3개소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1개소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및 설천면 2개소, 진안군 진안읍 1개소 

◦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1개소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1개소 


◯ 조사방법

 ◦ 조사지 (클론묘 및 실생묘 식재지)에 각각 3개의 10m x 10m 방형구 설정

 ◦ 방형구내 모든 개체 조사 


◯ 조사항목 

◦ 조림지 지황, GPS 정보, 토양의 화학적특성

 ◦ 방형구내 모든 개체의 수고, 근원경 및 수세 측정

 ◦ 기후데이터는 인접기상대의 자료이용 


2. 성적 분석 

◦ 국소적인 환경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세목 5본의 데이터로 실생묘와 클론묘의 차이여부 분석 

◦ 클론묘와 실생묘의 차이는 분산분석으로 구명

◦ 지황이나 기후인자와 생장과의 관계는 Pearson 상관이용 


Ⅳ. 연구 결과

1 생존율 

◦ 12개 조사지 63개 조사구의 평균 생존율은 61.4%였으며, 실생묘는 64%, 클론묘는 59%로 나타났다. 분산분석(ANOVA) 결과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수고 및 근원경 생장

 ◦ 조사된 조림지의 임령이 다르므로 클론묘와 같은 수령을 인접 실생묘와 비교하였다. 수고생장에서 실생묘와 클론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곳이 3곳, 실생묘가 더 우수한 곳이 6곳, 클론묘가 더 우수한 곳이 2곳으로 나타났다. 

◦ 근원경 생장의 경우 실생묘와 클론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곳이 7곳, 실생묘가 더 우수한 곳이 3곳, 클론묘가 더 우수한 곳이 1곳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시험지의 전체적인 수고 및 근원경 생장은 정상적이며, 전반적으로 실생묘와 클론묘 간의 생장잠재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수형발달

 ◦ 조림지 전체의 실생묘와 클론묘의 수형은 통계적으로 차이(p=0.187)를 인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조림지마다 실생묘와 클론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덩굴식물에 의한 피해, 경쟁식물에 의한 피압, 야생동물의 섭식, 기계적인 손상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댓글
* 이메일이 웹사이트에 공개되지 않습니다.